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징징 울고 떼쓰는 아이- 불안한 감정을 본능적으로 나타내는 행동

    2021.08.22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사회성 미숙, 언어 발달 문제-과민 극단적 행동으로 집착하는 금쪽이

    2021.08.07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등교거부와 엄마에게 폭언 폭행 /혼란형애착-학교 거부증 의심

    2021.08.04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현실 인식이 부족한 아이의 중얼거림- 통제와 조절의 어려움

    2021.08.03 by 샘아동심리연구원

징징 울고 떼쓰는 아이- 불안한 감정을 본능적으로 나타내는 행동

아이가 징징 울고 떼쓰는 경우는 내재된 자신의 불안한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아이들의 문제 행동에 대한 특징과 문제행동에 대한 지도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울기, 징징거리기 등과 "싫어, 안해" 라는 말 아이의 행동에서 울거나, 바닥에 뒹굴고 장난감을 던진다. 또한 자신의 머리를 흔들거나 쥐어뜯고 심하면 몸을 뒤로 젖히면서 울어대기도 한다. 유아기에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징징거리기, 울기, 소리 지르기 등 다양하다. 때로는 음식을 토해내면서 떼쓰기도 하는 문제 행동은 통제력이 부족하여 충동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말끝마다 ‘싫어, 안해’ 라고 하는 경우, 뭐든지 내 것이라고 독차지하는 경우, 한 순간도 차분하게 머물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2. 욕구 충족은 자의식..

카테고리 없음 2021. 8. 22. 17:19

사회성 미숙, 언어 발달 문제-과민 극단적 행동으로 집착하는 금쪽이

1. 상대 말의 의미 파악이 잘안되는 사회성 미숙, 과민하게 이상행동을 하는 금쪽이 8월 6일 방송되는 채널A ‘요즘 육아 - 금쪽같은 내새끼’에서는 극단적 이상행동을 하는 초3 딸의 사연이다. 화날 때마다 침을 뱉는 초등학교 3학년 금쪽이의 심정을 알고 싶어 해 엄마, 아빠와 함께 공개되었다. 금쪽이는 논리정연하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던 도중 아빠가 다른 주제로 바꿔보자고 하자, 갑자기 싫다며 소리를 지르고 발버둥을 치기 시작한다. 2. 화용 언어가 부족하여 사회성 발달이 낮은 아이 하교 후 집으로 오던 금쪽이는 닫힌 현관문 보고 갑자기 살려달라며 비명을 지르고 계속 복도를 뛰어다니는 이상 행동을 보여 출연진들을 깜짝 놀라게 한다. 이를 지켜보던 오은영은 앞서 토론에서 말을 잘하던 금쪽이가 ‘사실은 언어..

카테고리 없음 2021. 8. 7. 14:16

등교거부와 엄마에게 폭언 폭행 /혼란형애착-학교 거부증 의심

1. 등교를 거부하고 원격수업도 거부하는 금쪽이의 격한 분노 금쪽이는 이유없이 계속해서 등교를 거부하고 원격수업도 거부하는데 재촉하는 엄마에게 금쪽이는 급기야 “개XX”라고 소리를 지르고 온 힘을 다해 엄마에게 주먹을 휘두른다. 금쪽이는 엄마에게 방을 나가라고 하지만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베개를 던지기를 한다. 이어 컴퓨터 빔프로젝트까지 뽑아 들면서 위협과 분노에 찬 말투로 대답하자 결국 엄마는 금쪽이를 등교를 시키지 못하고 포기한다. 2. 학동기 등교거부는 학교 거부증을 의심해야 한다. 엄마는 “금쪽이가 10개월째 등교를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고, 이에 오은영은 “학동기 연령의 아이들이 등교를 힘들어하면 ‘학교 거부증’을 의심해봐야 한다”며 행동을 분석한다. 계속해서 금쪽이는 분노에 찬 말투로 대답..

카테고리 없음 2021. 8. 4. 00:19

현실 인식이 부족한 아이의 중얼거림- 통제와 조절의 어려움

장소와 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아이의 중얼거림 때문에 부모의 체면을 망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중얼거림의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지만 내재되어 있는 정서적 표현 욕구가 현실적으로 통제되지 않은데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현실 인식이란 내재되어 있는 정서적 표현 욕구를 어느 정도 통제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렇지만 현실 인식이 부족한 자폐아이에게는 정서 욕구를 통제하거나 조절하는 인식 능력이 떨어진다. 이렇게 볼 때 아이의 중얼거림은 인지의 미분화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 자신이 어떤 특별한 의도와 뜻을 표현하고자 할 때 아이는 자신이 획득된 언어와 언어적 기술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 그리고 습득한 어휘가 한정적일 때 똑같은 말들을 반복하게 된다. ..

카테고리 없음 2021. 8. 3. 23: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5 16 17 18
다음
가족아동컨설팅 카카오톡
샘아동심리연구원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