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 마음기록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론

  • 대상 관계 개념 - 자아 개념, 나와 너의 상호작용의 발달

    2024.05.23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대상 관계 이론 - 애착과 의존, 억압 및 거부하려는 욕구

    2024.04.30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매슬로우 욕구 5단계 위계이론 - 물질적, 심리적 정서의 충족

    2024.01.31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정신분석 상담의 인간관 - 성격 구조는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

    2023.04.01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이론 차이 비교

    2023.01.24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반두라의 발달이론 - 사회적 관계를 위한 모방학습

    2022.05.17 by 샘아동심리연구원

대상 관계 개념 - 자아 개념, 나와 너의 상호작용의 발달

1. 대상관계의 개념 1) 대상관계대상관계(object relation)란 영아이 때 자신을 돌봐주는 양육자에 대한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발달하면서 개인적인 경험이 축적 됨에 따라 변하게 된다. 대상관계는 사물보다는 사람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대상관계는 인격적 관계라는 개념을 지닌다. 즉,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아이가 자신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엄마와의 관계에서 처음으로 생긴다. 개인이 대상과의 관계를 통해 자아 개념을 형성하고, 이러한 관계 패턴이 나중의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인생초기의 가족관계에서 형성된 대상에 대한 이미지는 아이의 마음속에 내재화 되어 타인과의 대인관계 영역에서 다시 나타난다. 내재화된 대상은 아이가 주관적인 지각과 환상에 근거해서 발달과정..

이론 2024. 5. 23. 11:07

대상 관계 이론 - 애착과 의존, 억압 및 거부하려는 욕구

1. 대상관계 이론의 의의 대상관계이론은 인간의 심리구조 형성에서 초기 발달 단계의 영향을 강조하였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대상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대상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인간이 대상과 관계를 추구하는 것은 본능적 욕동에 의해서가 아니며 관계를 맺으려는 욕구 때문이다. 인간의 발달 동기는 욕동보다는 관계의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인간은 본능적으로 관계를 형성하려는 욕구와 동기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관계를 형성할 대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계를 통하여 욕구를 충족시킨다. 2. 성격의 기초는 대상관계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에 의해 대상관계이론은 프로이트의 이론을 비판· 수정하면서 초기 발달단계에서의 성장을 돕는 어머니(주 양육자)를 중..

이론 2024. 4. 30. 00:41

매슬로우 욕구 5단계 위계이론 - 물질적, 심리적 정서의 충족

1. 매슬로우 욕구 5단계 이론의 의의 매슬로우(Maslow)가 제안한 욕구 이론(Maslow's hierarchy of needs)에서는 기본 욕구와 성장욕구 두 가지 형태로 구별하고 있다. 욕구발달에는 기본 욕구와 성장욕구로 구분한다. 첫째, 기본 욕구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의 욕구, 존경의 욕구로써 결핍욕구이다. 둘째, 성장욕구는 자아실현의 욕구로써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는 욕구 계층이다. 이러한 인간의 모든 욕구는 어떤 특정한 욕구를 다른 욕구들로부터 완전한 분리가 아니라 동기 유발과 충족을 통해서 자아실현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욕구의 종류 및 단계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과 소속의 욕구, 자기존중의 욕구, 인지적 욕구, 심미적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이다. 인간의 하..

이론 2024. 1. 31. 15:47

정신분석 상담의 인간관 - 성격 구조는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

1. 정신분석 상담의 의의 지그문드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9~1936)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유태인 부모의 7남매의 맏이로 태어났다. 1881년 오스트리아 빈 대학에서 의학학위를 취득하고 신경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는 신경환자들을 대상으로 꿈의 해석, 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 정신분석의 새로운 개요 등 600권 이상의 저서를 남겼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형성과정과 정신구조를 최초로 체계화하였지만 대상이 주로 중상류층이었고, 통제된 상황에서 사례를 객관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과 양적으로 분석하지 않은 점을 비판 받는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마음과 성격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였다. 영국 정신분석학파인 Klein을 위시로 한 유럽의 위니컷(Winnicott), ..

이론 2023. 4. 1. 21:59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이론 차이 비교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은 갈등 구조가 인간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발달과정을 단계적으로 접근하면서 질적 차이와 독특한 특성으로 진행된다는 점에 인간의 성장과정을 설명하였지만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정확성이 결여되어 있다.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1.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이론 중심 개념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이드(Freud) 이론에 있어서 중심개념은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에서 무의식의 차원을 강조하고 있다. 이 무의식은 성적 본능의 지배 하에 발현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그는 단계적인 심리 성적이론을 발전시켰다. 심리 성적(psychosexual)이론은 인간의 발달을 원초아(id)의 발달을 중심으로 성적 욕구의 충족 방식과..

이론 2023. 1. 24. 01:34

반두라의 발달이론 - 사회적 관계를 위한 모방학습

인간의 모든 행동은 관찰이나 모방을 통한 학습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자극뿐 만 아니라 인간 내부의 인지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학습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반두라(Bandura)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직접적인 조건화가 아닌 관찰이나 모방을 통해서도 학습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관찰학습, 모방학습, 사회학습, 대리학습, 모델링학습, 대리적 조건화에 의한 학습이라고도 한다. 즉, 발달은 인간이 출생 후 환경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은 관찰과 모방(imitation)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인지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어떤 보상이나 처벌의 조작 결과로 인간의 성격과 행동을 조성한다는 왓슨(Watson), 스키..

이론 2022. 5. 17. 00:4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가족아동컨설팅 카카오톡
샘아동심리연구원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