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정서

  • 자신이 어떤 특별한 의도와 뜻을 표현하고자 할 때

    2022.05.11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의 종류 -사랑과 행복, 슬픔과 분노 및 공포

    2022.02.20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정서, 행동의 발달 - 정서표현의 특징과 요인

    2021.11.16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개인의 총체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자아존중감

    2021.11.14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Sternberg의 사랑의 3요소

    2021.10.26 by 샘아동심리연구원

자신이 어떤 특별한 의도와 뜻을 표현하고자 할 때

장소와 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아이의 중얼거림 때문에 부모의 체면을 망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중얼거림의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지만 내재되어 있는 정서적 표현 욕구가 현실적으로 통제되지 않은데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현실 인식이란 내재되어 있는 정서적 표현 욕구를 어느 정도 통제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렇지만 현실 인식이 부족한 자폐아이에게는 정서 욕구를 통제하거나 조절하는 인식 능력이 떨어진다. 이렇게 볼 때 아이의 중얼거림은 인지의 미분화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 자신이 어떤 특별한 의도와 뜻을 표현하고자 할 때 아이는 자신이 획득된 언어와 언어적 기술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 그리고 습득한 어휘가 한정적일 때 똑같은 말들을 반복하게 된다. ..

카테고리 없음 2022. 5. 11. 13:01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의 종류 -사랑과 행복, 슬픔과 분노 및 공포

정서표현은 가장 기본적인 일차 정서(primary emotions)와 일차적 반응 이후에 나타나는 이차 정서(secondary emotion)로 구분한다. 1. 일차 정서 일차 정서(primary emotions)는 기본 정서이다. 세계 문화권의 정서의 수와 종류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영아에게 기쁨, 분노, 슬픔, 공포, 놀람 등은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1) 기쁨과 행복 기쁨은 기분이 좋다고 느끼는 정서로 미소나 웃음 등으로 표현되며, 건강한 영아에게서 자주 볼 수 있다. 신생아는 출생 직후 배냇미소라고 하여 외부 세계와 전혀 관계없이 선천적·반사적으로 미소를 짓는다. 4주경부터 움직이는 물체나 외부 자극에 대해 미소를 보이고, 6~10주는 사회적 미소(social smile)를 보이는데 연령이 ..

카테고리 없음 2022. 2. 20. 23:36

정서, 행동의 발달 - 정서표현의 특징과 요인

인간은 기쁨이나 슬픔, 두려움과 불안과 같은 기본 정서를 가지고 태어난다. 정서는 자주 변하고 빈번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서는 내적·외적 자극에 직면하면 발생하거나 자극에 수반되는 생리적 변화나 애정, 기쁨, 불안, 두려움 등 여러 가지 감정이다. 아동은 자신의 상태를 부모 및 성인들에게 특정 자극으로 알림으로써 자신을 보살피게 하는 기능을 한다. 부모 및 성인들의 행복이나 기쁨, 분노나 짜증 등 모방과 강화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함으로써 점차 사회·문화적으로 용인된 방식으로 표현하면서 환경에 적응해 간다. 모든 정서는 유기체가 환경에 적응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도와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서는 개인의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서행동의 교육적 성취 능력 아동기의 정서행동(e..

카테고리 없음 2021. 11. 16. 12:31

개인의 총체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자아존중감

성장급등기와 아동기 자아 오늘날 생활수준이 향상에 따라 식생활과 주거생활의 변화 및 사회적으로는 성 개방 풍조와 대중매체의 강한 자극 등으로 아동의 신체적 발달과 생리적 변화가 조기 가속화되고 있다. 아동들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인 문제나 또래나 이성 친구에 대한 표현방식이 서툴거나 위축되어, 또래집단의 분위기에 휩쓸려서 섣부른 결정을 내리기 쉽다. 아동기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체중과 근육, 머리, 얼굴 특히 생식기관에 성장급등(growth spurt)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변화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지만 부모 및 성인들로부터 관심과 도움, 사랑과 긍정적인 감정 등을 원하는 동시에 부모와의 분화된 관계와 자아존중감을 추구한다. 자아존중감의 개념 및 의의 자아존중감(自我尊重感, sel..

카테고리 없음 2021. 11. 14. 23:15

Sternberg의 사랑의 3요소

1. 사랑과 정서의 의의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 로버트 스턴버그는 사랑의 삼각형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랑이 친밀감, 열정, 헌신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균형을 이루게 도면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스턴버그 이전에는 사랑에 관한 논의가 대부분 사랑의 정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정서는 심리학에서 타고난 기질적인 측면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는 특징을 가지며 생애 전반에 걸쳐서 비교적 가장 안정적인 특질로서 이해된다. 이에 사랑을 정서로 이해하고자 하는 이론들은 사랑 또한 정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생애 초기에 형성되는 사랑이 생애 전반에 걸쳐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보울비는 아이가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서 사랑의 어떠한 모델을 형성함에 따라 내적 작동모델을 형성한다고 주장하였다. ..

카테고리 없음 2021. 10. 26. 12: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가족아동컨설팅 카카오톡
샘아동심리연구원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