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신경학적

  • 공격적인 문제와 환경-자기중심적 사고 증가

    2021.09.23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현실 인식이 부족한 아이의 중얼거림- 통제와 조절의 어려움

    2021.08.03 by 샘아동심리연구원

공격적인 문제와 환경-자기중심적 사고 증가

1. 공격적 행동 의의 및 특성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는 이유 없이 다른 사람의 신체 할퀴기, 소리 지르거나 머리 부딪히기, 깨물기, 물건을 부수거나 던지기, 욕하기, 싸우기 등의 행동을 한다. 공격성이란 다른 사람에게 신체적 상처를 입히거나 파괴하는 행동과 의도적으로 정신적인 위협을 가하는 것이다. 공격성의 목적은 자신의 욕구를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영아기(생후 6개월)부터 생리적인 욕구와 사회적 승인 및 애정을 드러내기 시작하는데, 2.5세에 분노폭발이 최고치에 이르면서 본능적인 공격성이 증가한다. 이런 공격성은 사회적응능력을 위한 기술을 습득하지 못했거나 양육방법의 잘못 등이 원인으로서 권위의 한계를 시험하기 위한 거부증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2. 지도 방법 1) 신경학적 기질 이해 관심..

카테고리 없음 2021. 9. 23. 00:23

현실 인식이 부족한 아이의 중얼거림- 통제와 조절의 어려움

장소와 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아이의 중얼거림 때문에 부모의 체면을 망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중얼거림의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지만 내재되어 있는 정서적 표현 욕구가 현실적으로 통제되지 않은데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현실 인식이란 내재되어 있는 정서적 표현 욕구를 어느 정도 통제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렇지만 현실 인식이 부족한 자폐아이에게는 정서 욕구를 통제하거나 조절하는 인식 능력이 떨어진다. 이렇게 볼 때 아이의 중얼거림은 인지의 미분화에서 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 자신이 어떤 특별한 의도와 뜻을 표현하고자 할 때 아이는 자신이 획득된 언어와 언어적 기술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 그리고 습득한 어휘가 한정적일 때 똑같은 말들을 반복하게 된다. ..

카테고리 없음 2021. 8. 3. 23: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가족아동컨설팅 카카오톡
샘아동심리연구원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