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이론
    • 상담
    • 문학
    • 기타
    • 특수장애
    • 생활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격성

  • 정신분석 상담의 인간관 - 성격 구조는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

    2023.04.01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공격 - 때리고, 빼앗고, 건드리는 행동 지도 방법

    2022.08.12 by 샘아동심리연구원

  • 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 뜯는 아이의 문제-공격성, 심리적 불안

    2021.11.27 by 샘아동심리연구원

정신분석 상담의 인간관 - 성격 구조는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

1. 정신분석 상담의 의의 지그문드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9~1936)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유태인 부모의 7남매의 맏이로 태어났다. 1881년 오스트리아 빈 대학에서 의학학위를 취득하고 신경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는 신경환자들을 대상으로 꿈의 해석, 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 정신분석의 새로운 개요 등 600권 이상의 저서를 남겼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격형성과정과 정신구조를 최초로 체계화하였지만 대상이 주로 중상류층이었고, 통제된 상황에서 사례를 객관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과 양적으로 분석하지 않은 점을 비판 받는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마음과 성격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였다. 영국 정신분석학파인 Klein을 위시로 한 유럽의 위니컷(Winnicott), ..

이론 2023. 4. 1. 21:59

공격 - 때리고, 빼앗고, 건드리는 행동 지도 방법

아이의 공격적, 충동적인 행동은 사회성 발달의 과정 아이들은 놀면서 친구와 갈등이 생기거나 의견 충돌이 발생하면 주변의 다른 아이를 건드리고 때리고 자기 마음대로 하려고 한다. 즉, 다른 아이의 장난감을 확 빼앗거나 울면 달려드러 밀쳐버리는 행동이다. 아이는 사소한 일로 화를 내기도 하고, 짜증을 유독 많이 내는 경우도 있다. 반면, 아무 이유 없이 다른 아이에게 상처를 입히는 경우, 집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다른 아이들에게 푸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점차 다른 사람의 기분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면서 충동성을 억제하고, 공격적인 행동과 말을 자제하게 된다. 이것은 아이가 사회성을 발달시켜 가는 과정 속에 일어날 수 있는 극히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이 너무 과해서 별 이유없이 자..

카테고리 없음 2022. 8. 12. 16:52

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 뜯는 아이의 문제-공격성, 심리적 불안

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 뜯는 행동 의의 및 특성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행동은 출생 후 3~4개월에 나타나며, 7개월이 되면 강해지기 시작하여 18개월경에 가장 심해지고 3세경이 되면 약화된다. 6개월 미만에 손가락을 빠는 행동은 자신의 감각을 만족시키는 행동이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후에도 계속 손가락을 빠는 경우는 아이가 자신감이 없거나 무료함을 느끼는 경우이다. 이때는 다른 일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거나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손톱을 물어뜯는 경우는 보통 4세 이후에 나타나는데, 5~6세에도 손톱을 물어뜯는 경우 대체로 정서적으로 불안하거나, 욕구불만, 초조감을 나타낸다. 아이의 가장 큰 원인은 심리적 스트레스 및 불안감 때문이다. 손톱을 물러 뜯는 행동은 영유아기는..

카테고리 없음 2021. 11. 27. 23:5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가족아동컨설팅 카카오톡
샘아동심리연구원 ©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